사설/칼럼

  • 세계선교를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세계선교를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기독일보,

    선교는 하나님의 언약을 성취하는 사역이다. 얼마 전 서울 프레스센터에 다녀왔다. 종종 외신기자회견이나 대선을 앞두고 언론인들이 후보자들을 초청하여 공약을 발표했던 곳으로 평소에도 각종 행사를 하는 장소이다. 국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선교를 하고 있는 지인 목회자와 함께 제1회 아프리카 선교의 밤에 갔다.

  • 모든 것이 은혜, 은혜였소!

    모든 것이 은혜, 은혜였소!

    기독일보,

    국내 시인 가운데 내가 제일 좋아하는 시를 쓴 분이 한 분 있다. 다른 건 나와 맞지 않아도 그의 시만큼은 참 좋다. 그의 시는 추상적인 사유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과 삶의 뿌리에서 나온다는 점에서와, 꾸밈없고 맑고 정직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인간에 대한 사랑과 존엄, 그리고 양심을 중심에 둔다는 점에서 너무 매력적이다.

  • 자손 대대로 물러주어야 할 고난

    자손 대대로 물러주어야 할 고난

    기독일보,

    다윗이 임종 직전 후대 왕으로 세운 솔로몬에게 유언하는 내용입니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전반은 솔로몬 개인이 왕으로써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며(1-4절), 후반은 다윗이 미처 결말 짓지 못한 일들을 마무리 해달라는 일종의 업무 인수인계에 관한 것입니다.(5-9절) 후반은 또 당신에게 불충했던 요압과 시므이를 백발로 평안히 죽게 하지 말라 즉, 반드시 죽이라는 것과 당신에게 우대했던 길르앗 바실래의 아들들에게는 은총을 베풀라는 것 둘로 나뉩니다.

  • 하나님의 법과 가이사의 법(28)

    하나님의 법과 가이사의 법(28)

    기독일보,

    사도 바울은 목회서신에서 “잘 다스리는 장로들은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을 더욱 그리할 것이니라”(딤전 5:17)고 말씀한다. 여기서 장로는 두 부류로 나뉜다. 잘 다스리는 장로는 교회를 다스리고 권징과 질서를 세우는 역할을 맡은 장로이고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장로는 말씀 선포와 교리 교육에 전념하는 장로이다. 장로교회는 이 말씀에 근거해, 말씀 선포와 성례 집례, 교리 교육을 담당하는 가르치는 장로(목사)와, 교회의 질서 유지와 행정, 권징에 참여하는 다스리는 장로(평신도 장로) 제도를 두었다.

  • 갈등과 분열로 풍전등화 대한민국, 소통과 통합의 길 찾아야

    갈등과 분열로 풍전등화 대한민국, 소통과 통합의 길 찾아야

    기독일보,

    우리 사회는 압축성장이라는 고도의 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우리 고유의 전통적 질서는 와해되고 갈등과 분열의 사회가 되고 말았다. 불신과 대립, 갈등과 반목, 이반은 이미 도를 지나쳤으며, 매년 갈등치유비용이 거의 연간 국가예산과 맞먹을 정도로 위험 수준이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갈등해소비용은 무려 2,130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 2017년(박근혜 대통령 탄핵)에는 이념 대립이 더욱 심각해지고 정권퇴진 집회와 시위가 빈번하게 열리면서 그해만 1,740조 원이 지출되었다고 한다. 2025년에는 2,000조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체 국가 채무를 갚고도 1년간 국가예산을 대체할 수 있는 엄청난 액수이다.

  • 가족 연대의 힘

    가족 연대의 힘

    기독일보,

    지난 9월 20~21일, 안성 고삼재 연수원에서는 가족행복학교와 부락복지관이 공동으로 주최한 가족 캠프가 열렸다. 이 캠프에는 부락복지관의 느린 학습자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학생들의 가족이 초청되었고, 총 11가정이 부모와 자녀가 함께했다. 일반 시민 가정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특수한 가족 구성이었지만, 오히려 더 깊은 연대와 화합의 모습이 드러났다.

  • 모국어가 더 어려운 이스라엘

    모국어가 더 어려운 이스라엘

    기독일보,

    여호와의 사자가 그발 강가에 있던 에스겔에게 환상 중에 임하여 “인자야 네 발로 일어서라 내가 네게 말하리라”(2:1)고 말씀을 시작합니다. 그 후 에스겔을 ‘인자야’라고 92회나 간절하게 부르면서 이스라엘이 죄를 회개하면 회복시켜주겠다는 계시를 주십니다. 그만큼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을 너무나도 긍휼히 여긴다는 뜻입니다. 상기 본문에서도 두 번이나 같은 내용을 말씀하신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 채찍 없는 리더십: 벤허와 뮬러

    채찍 없는 리더십: 벤허와 뮬러

    기독일보,

    故 이건희 회장 생전에, 한 언론사 기자가 삼성의 성공 비결에 대해서 물었다. 이 회장은 뜻밖에도 영화 이야기를 꺼냈다. ‘벤허’를 보면 아주 인상적인 전차 경주 장면이 나온다. ‘메살라’는 말들을 채찍으로 강하게 후려치는 데 반해, 주인공 ‘벤허’는 채찍 없이 경주에서 승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벤허는 경기 전날 밤, 네 마리의 말을 어루만지면서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 교회학교 교사는 행동하는 리더다

    교회학교 교사는 행동하는 리더다

    기독일보,

    교회학교 교사는 단순히 아이들에게 성경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다. 교사는 말로만 가르치는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삶으로 본을 보이며 아이들을 하나님께로 이끄는 행동하는 리더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와서 보라”하시며(요 1:39) 직접 함께 걸으며 가르치셨다. 말씀만이 아니라 삶 전체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보여주신 것이다. 교회학교 교사도 마찬가지다.

  • [안보칼럼㊹] 6.25 한국전쟁의 진실, 후방전쟁(2)

    [안보칼럼㊹] 6.25 한국전쟁의 진실, 후방전쟁(2)

    기독일보,

    1950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전야제에 이방인의 잔치에 한국인이 초대되었다. 이들은 한국의 승리와 안정과 번영을 위해 하나님께 의지하며 기도하고, 믿음을 잃지 않았다. 모든 것이 부족한 결핍의 시대에 헐벗고 굶주리는 전쟁 속에서 무엇이든 손에 잡고 입에 넣어야만 죽지 않았다. 그러나 중공군이 연속적으로 퍼붓는 대공세에 서울을 다시 내주는 1.4 후퇴 속에 나만 살면 된다는 이기주의로 인한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 첫째, 국민방위군 사건이다. 중공의 대공세로 위기에 몰린 이승만은 ‘이 전쟁은 우리의 자유 독립을 위한 최후의 결전이다. 국민 총력전으로 반드시 승리하자’며 국회에서 1951년 1월

사설/칼럼의 인기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