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유신진화론과 교단 총회

    유신진화론과 교단 총회

    기독일보,

    지난 몇 년 동안 한국 신학계 일부에서는 유신진화론을 주장하여 복음주의 신학계와 논쟁을 벌이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주장은 경기도 부천의 모 신학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한 교수에 의해 본격적으로 강조하게 되었다. 지금도 이러한 논란은 해당 학교와 교단은 물론, 그 범위를 넘어 타 교단 학자들까지 가세하여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서의 신학은 대부분 복음주의 신학 노선을 취하여 오고 있는 입장인데, 창조론에서 정통 복음주의 신학 노선과 다르게 유신진화론을 주장하여 큰 논란이 발생한 것이다.

  • 국가가 바로 서려면 도덕이 바로 서야 한다

    국가가 바로 서려면 도덕이 바로 서야 한다

    기독일보,

    선악의 기준을 도덕이라고 한다. 도덕이 바로 선 개인은 사회의 일원이 되어 선한 영향력을 끼친다. 도덕이 바로 선 나라는 모든 국민이 공정하게 존중받고 안심하고 살 수 있다. 법을 지키고 사회규범을 지켜나가면 너와 내가 존중받고 정당한 권리를 보호받기 때문이다.

  • 새 노래로 여호와께 찬송하라

    새 노래로 여호와께 찬송하라

    기독일보,

    최근 정통 개신교계 내에서조차 영적으로 혼탁해지는 조짐이 많이 노정됩니다. 강단의 설교는 성경의 가르침과 자꾸 거리가 멀어지고 있습니다. 본 시편에서 권면하는 대로 지금도 온전한 믿음의 바탕에서 새로운 심령으로 하나님을 찬양해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는 뜻입니다. 수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인간의 영적인 상태는 지성이나 문명의 발달과는 상관없이 여전히 너무나 어리석은 상태에 머물 뿐입니다.

  •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 아니네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 아니네

    기독일보,

    가치 있는 문장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Our joy comes not from where we are but from whose we are.” 우리말로 직역을 하면 이렇다. “우리의 기쁨은 우리가 어디에 있는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누구에게 속해 있는가에서 온다.”

  •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1)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1)

    기독일보,

    예수의 죽음은 단지 무죄한 의인의 죽음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종교적 위인(偉人)의 죽음을 넘어선다, 예수의 죽음은 소크라데스나 공자(Confucius)나 부처(Buddah)나 무함마드의 죽음과도 달랐다. 그의 죽음은 많은 사람의 대속을 위한 죽음이었다. 예수는 제자들과 나눈 최후의 만찬에서 자신의 죽음의 의미를 제자들에게 친히 가르치신다. 복음서 저자 마가는 다음같이 기록하고 있다: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니 다 이를 마시매, 이르시되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막 14:22-24).

  • 포르노는 인간성과 사회를 파괴하는 중독의 관문이다

    포르노는 인간성과 사회를 파괴하는 중독의 관문이다

    기독일보,

    "내 집 창문으로 내다보다가… 어리석은 자들 가운데 한 젊은이를 보았노라. 그가 거리 모퉁이에서 그녀의 집으로 향했노라… 밤중, 어둠 가운데에… 보라, 한 여인이 그를 마주하였노라" (잠언 7:6~10). 컴패스케어 임신 서비스(CompassCare Pregnancy Services)의 CEO이자 의료윤리학자인 짐 하든 목사(Rev. Jim Harden)가

  • 음주운전은 절대로 안 돼요

    음주운전은 절대로 안 돼요

    기독일보,

    지인들 중에 음주사고를 경험한 이들이 있을 것이다. 한 사람의 잘 못으로 인해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이 아픔을 겪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업화를 거치면서 마이카 시대에 접어들었다. 자동차는 편리성도 있지만 누가 운전을 하느냐에 따라 안전할 수도 있고 난폭한 흉기가 될 수도 있다. 음주운전은 나와 타인 모두를 파괴하는 행위이다.

  • 숲이 번성하는 것은 어머니 나무 때문입니다

    숲이 번성하는 것은 어머니 나무 때문입니다

    기독일보,

    숲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거대한 숲은 오랜 세월을 거쳐 형성됩니다. 처음에는 하나의 작은 씨앗에서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작은 씨앗 속에는 거대한 숲이 담겨 있습니다. 작은 씨앗으로 시작된 나무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아름다운 숲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주간에 우연한 기회에 숲에 대해 배웠습니다. 숲 속에 담긴 비밀을 배웠습니다. 숲을 통해 인생을 배우고, 삶의 지혜를 배웁니다.

  •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3)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3)

    기독일보,

    전통적인 성령 이해는 주로 그리스도인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으로 이해되었다. 타종교인 가운데 역사하시는 성령의 역사는 주로 저들의 마음을 여시어 복음을 받아들이도록 하시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전통적인 성령 이해에도 타종교인 혹은 불신자들 가운데서도 역사하는 성령 이해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언급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 [사설] 실용주의 외교? 두 마리 토끼 다 잃을 수도

    [사설] 실용주의 외교? 두 마리 토끼 다 잃을 수도

    기독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되면서 한·미 정상 간의 회담 성사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일 이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는 전화 통화에서 이 대통령을 미국으로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그에 앞서 G7 정상회의에 이 대통령이 참석하게 된 만큼 두 정상 간의 첫 만남이 캐나다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사설/칼럼의 인기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