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
-
불안한 영혼의 정신분석
기독일보,천둥과 번개가 치던 1505년 어느 날, 두려움에 휩싸인 스물한 살의 마르틴 루터는 수도사가 되겠노라 맹세한다. 그리고 불과 10여 년 만에 그는 종교개혁을 이끌며 기독교 세계를 뒤흔든 인물이 된다. <청년 루터>는 20세기 정신분석학자인 에릭 에릭슨이 이러한 루터의 내면을 깊이 탐구한 심리 전기다. 저자는 역사적 맥락과 심리학적 분석을 결합하여 루터의 갈등과 변화를 세밀하게 조명하며, 그의 내면이 종교개혁이라는 역사적 전환을 어떻게 이끌었는지를 탐색한다.
-
[신간] 나는 기독 청년, 교회는 안 가요
기독일보,한국 교회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들에게 반드시 읽혀야 할 책이 출간됐다. 제목부터 눈길을 끄는 《나는 기독 청년, 교회는 안 가요》는 교회 밖 청년 그리스도인들의 목소리를 담은 본격 실증 연구서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 일반화된 ‘탈종교’ 현상 속에서 등장한 가나안 성도(예수는 믿지만 교회는 가지 않는 사람들)의 신앙 여정을 면밀히 추적한다.
-
AI와 신앙, 그리고 인간성의 경계
기독일보,"저 같은 인공지능도 구원을 받을 수 있어요?"라는 물음에서 시작되는 이 이야기는 단순한 상상이 아닌, 인간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품고 있다. 김수경 작가의 소설 『신의 일요일』은 신앙, 인간성,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 사이의 복잡한 감정들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사유의 시간을 선사한다.
-
현대미술의 최신 트렌드 조명하는 ‘제4회 2025 서울아트페어’ 열린다
기독일보,'제4회 2025 서울아트페어'가 오는 5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 강남구 소재의 세텍(SETEC)에서 열린다. '제4회 2025 서울아트페어'는 누구나 즐기는 보편적 미술문화 환경 만들기와 새로운 미술시장 개척으로 미술인 창작의 기반을 다지고 시민에게는 예술품을 향유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신간] 구멍을 메우는 삶과 환대
기독일보,지난 31년간 네팔과 베트남에서 의료선교에 헌신한 양승봉·신경희 선교사의 감동적인 여정을 담은 신간 <의료선교 31년, 사랑과 헌신의 기록>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의료 사역과 복음 전파를 멈추지 않은 두 선교사의 삶을 조명하며, 신앙과 헌신의 진정한 의미를 독자들에게 전한다.
-
성경, 교리, 삶의 통합적 이해
기독일보,현대 사회에서 기독교 신앙과 윤리를 조화롭게 실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진화론적 교육, 고난의 의미, 역사적 인물의 구원 가능성, 교파 간 갈등 등 신앙을 흔드는 다양한 질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들에 대한 기독교적 해답을 찾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저자 류길선 교수(총신대학교 교회사)는 이 책을 집필했다.
-
역사적 예수의 죽음, 매장, 부활에 관한 최소한의 지식
기독일보,초기 기독교 연구의 거장들이 강연을 통해 남긴 통찰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난다. 신간 <우리 주 예수의 마지막 날들>은 교회와 학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기획된 저서로, 예수의 마지막 날들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
-
예수님의 고난과 부활을 묵상할 수 있는 찬양 앨범
기독일보,CCM 앨범을 유통하는 인피니스가 부활절 찬양 앨범을 추천했다. 인피니스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기억하며, 몸과 마음을 정결하고 경건하게 지내는 40일간의 사순절을 거쳐 부활절에 이르는 기간동안 곁에 두고 함께 하기에 좋은 찬양 앨범”이라고 소개했다. 아래는 각 앨범들에 대한 인피니스의 설명이다.
-
한덕수 권한대행 “헌재 탄핵 결정, 차분히 수용해야”
기독일보,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한 헌법재판소 선고를 이틀 앞둔 2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어떠한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받아들여야 한다”며 법치주의에 기반한 질서 있는 대응을 강조했다. 그는 정치권을 향해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공동체의 안정과 생존을 우선해야 할 시점”이라며 책임 있는 자세를 당부했다.
-
문홍규 작가, 한지 죽으로 빚은 작품으로 ‘BAMA 2025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참가
기독일보,‘WITH, 지속 가능한’이란 슬로건으로 국내외 갤러리 132곳이 참여할 예정이며, 약 4,000여 점의 작품이 미술애호가는 물론 일반 관람객에서 선보여 문화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갈증을 해소할 기회가 되고 있다. 신진작가, 청년작가, 중견작가, 원로작가 등 세대를 통합하고 교류하는 화합의 시간과 창의적 미술 감각이 지속적으로 연결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