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쿼바디스 도미네'(Quo Vadis Domine)

    ‘쿼바디스 도미네'(Quo Vadis Domine)

    기독일보,

    라틴어 ‘쿼바디스 도미네’(Quo Vadis Domine)는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라는 뜻이다. 요한복음 13:36에서 시몬 베드로가 주님께 물었던 질문이다. 예수께서 잡히시던 날 밤, “너희는 내가 가는 곳에 올 수 없다”(요 13:33)라고 주께서 말씀하시자 베드로는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라고 물었다. 베드로는 예수님을 죽기까지 따를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다른 이들은 다 도망을 가도 자신만은 주님을 끝까지 따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마지막에 예수님을 모른다고 세 번이나 부인하고 큰 실의에 빠졌었다는 베드로에게 “내가 가는 곳에 네가 지금은 따라올 수 없으나 후에는 따라오리라”(요 13:36)고 대답하시면서 베드로가 닭 울기 전에 주님을 세 번 부인하리라고 예고하셨다.

  • 유사종교(類似宗敎)

    유사종교(類似宗敎)

    기독일보,

    지금은 유사종교 시대이다. 유사종교란, 공인되지 않은 신흥종교(新興宗敎) 또는 사교(邪敎)로 보고 있다. 세계에서 유사종교가 제일 많은 나라는 한국이 아닐까 싶다. 이른바 공인된 종교에서 하도 파벌이 많아 셀 수 없는 형편이다. 남의 종교는 그만 두고라도 장로교 안에서도 300개가 넘는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인지 모르겠다.

  • 경청의 지도자가 필요하다

    경청의 지도자가 필요하다

    기독일보,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이 파면됐다. 비참한 말로를 맞았다. 나는 윤석열의 파멸을 불러온 가장 큰 요인은 ‘경청(敬聽)’을 하지 않은 데 있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총선 전후로 윤석열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대형교회 목회자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서신을 보내 국정운영과 가족의 문제 등을 언급하면서 국민에게 진솔한 사과를 권면했다는 말을 들었다. 그 목회자가 서신을 보낸 후로는 더 이상 대통령으로부터 연락이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 헌재의 결정을 거부한다: 헌재는 헌법이 아니다

    헌재의 결정을 거부한다: 헌재는 헌법이 아니다

    기독일보,

    지금 세상은 부모가 훈육한다고 어린 자식을 때려도 법의 제재를 받는 시대다. 지배층이 백성을 농락하는 과거는 지났고 지도층이 국민 앞에 잘못하면 벌을 받고 퇴출당하는 시대다. 헌재는 헌법이 아니다. 감투를 쓰고 최상위층에서 대한민국의 단물을 빨아 먹고 있는 자들의 말이나 결정이 다 옳은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런 사례들이 하루가 멀다고 발생하는 것을 보며 울분에 싸여 있다. 헌재가 입맛대로 결정했으니 가재·붕어·개구리 같은 국민들은 그저 받아들여라? 어림없다! 국민이 물이고 너희가 가·붕·개이다. 물 빼면 너희들은 다 죽는다는 걸 잊지 말라!

  • 헌재의 대통령 탄핵 인용(認容) 선고 논평

    헌재의 대통령 탄핵 인용(認容) 선고 논평

    기독일보,

    헌법재판소(이하, 헌재)의 4·4 판결에 대하여 지식인들과 국민들은 헌재가 대통령측의 입장을 수용하지 않고 국회측의 입장만을 모두 수용한 편파적이며, 법리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판결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4월 5일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뷰'에 의하면 헌재의 결정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44.8%였다. 절반 가까운 국민들이 헌재의 결정에 수용불가를 밝혔다.

  • 용혜원 시인의 ‘고독한 예수’

    용혜원 시인의 ‘고독한 예수’

    기독일보,

    대중들의 사랑받는 시인, 용혜원 시인(1952~ )은 서울 출생으로 성결대를 나온 목사이다. 시집뿐 아니라 수필집, 신앙 예화집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의 저자로 수십권의 책을 꾸준히 펴냈다. 개봉동에 있는 '한돌성결교회' 담임목사였으며 서울과 대전극동방송 등을 통하여 방송선교에도 동참하였다.

  • [사설] 대통령 탄핵,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사설] 대통령 탄핵,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기독일보,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했다. 대통령의 비상 계엄선포가 헌법이 정한 요건에 맞는지, 국무회의 등 법이 정한 절차를 지켰는지, 계엄 선포 후 국회 활동의 자유를 침해했는지 등 주요 쟁점에 대해 헌법 재판관 8명 전원일치로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 [말씀과 명상(53)] 어느 시골 교역자의 일기-베르나노스

    [말씀과 명상(53)] 어느 시골 교역자의 일기-베르나노스

    기독일보,

    “세 번째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니 주께서 세 번째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 이르되 주님 모든 것을 아시오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 양을 먹이라”(요한복음 21:17).

  • 인간 지혜의 한계와 겸손의 필요성

    인간 지혜의 한계와 겸손의 필요성

    기독일보,

    어떤 사람은 쌀가마니에 돌이 한 개 든 것 보고 ‘보라 쌀가마니인데, 여기 돌이 들었다’ 이렇게 돌 한 개를 가려내면서, 수많은 양의 쌀을 작은 돌 한 개의 집착에 몽땅 가두어서 돌가마니로 만들어 버리는 인간의 못된 습성으로 자기중심의 원죄와 본죄가 있습니다. 또 짚북데기 한 뭉텅이를 놓고 ‘이거는 짚북데기다’ 하니까, 거기서 쌀 한 톨을 가려내면서 ‘여기에도 쌀이 있네’, 쌀 한 톨을 주장하고, 쌀 한 톨에 집중시켜서, ‘짚북데기가 아니라 쌀 가마니로구만’, 이렇게 쌀 한 톨의 주장으로 짚북데기를 쌀가마니로 만들어 버리는 못된 인간들의 습성이 있습니다.

  • [말씀과 명상(52)] 카라마조프의 형제들-도스토예프스키

    [말씀과 명상(52)] 카라마조프의 형제들-도스토예프스키

    기독일보,

    “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하거나 술 취하지 말며 음란하거나 호색하지 말며 다투거나 시기하지 말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로마서 13:13~14) 낮에와 같이 단정히... 시기하지 말며... '낮에와 같이'라는 표현은 지금이 밤이라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바울이 분명하게 말하는 것은 성도들이 실제로 낮에 살고 있다고 여기고 생활하라는 것이다. '방탕과 술취함', '음란과 호색, '쟁투와 시기'가 나열되고 있는데 이러한 행위들은 단정히 행하는 것과 상반된다.

사설/칼럼의 인기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