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말씀과 명상(44)] 우화(寓話)-포크너

    [말씀과 명상(44)] 우화(寓話)-포크너

    기독일보,

    이 구절은 “영적으로 죽은 사람들로 하여금 육체적으로 죽은 사람들을 장사지내게 하라”는 뜻. 세상 일은 세상 사람들에게 맡기고 오직 성도들은 하나님 나라의 일에 전심전력하라는 의미다. 즉 성도들이 예수를 좇음에 있어서 결정적인 우선 순위를 세상 일과 하나님의 일 중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자세의 문제로서 그것은 뼈를 깎는 아픔을 동반하는 결단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환영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환영

    기독일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에 의해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 청구인용이 결정되었다. 야당이 12.3 계엄을 국가 내란 혐의로 몰았고 내란수사를 할 수 없는 공수처가 불법을 저지른 것이다. 모든 수사는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진행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청구와 체포 그리고 구속이라는 모든 단계가 정당한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리하여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에서는 구속의 사유가 없으므로 구금상태를 해소해 달라고 청구하였고 결국 법원에서 구속 취소 인용을 받아낸 것이다.

  • ‘힘’인가? ‘짐’인가?

    ‘힘’인가? ‘짐’인가?

    기독일보,

    믿음은 ‘짐’이 아니고 ‘힘’이다. 이 말씀은 제가 섬기는 교회의 담임목사님이 설교 중에 여러 번 한 말이다. 즉 “신앙생활이 ‘짐’이 되어서는 안 되고, ‘힘’ 곧 삶의 능력이 되어야 한다”는 이 메시지는 가슴에 와닿는 말씀이었다. 신앙생활을 무덤덤 무감동으로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예수를 믿는 것도, 교회 생활도 그 자체가 짐이 되고 버거울 때가 많을 것이다. 하기는 어디 신앙생활 뿐이겠는가? 직장생활도, 가정생활도 늘 감사하고 감격하며 사는 사람은 활력이 넘치고 재미가 있고, 살 맛이 날 것이다. 반대로 억지로 겨우겨우 버티어 가는 삶은 그 자체가 ‘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설] 72년 전 믿음의 지도자, 혜안·결단 덕분에

    [사설] 72년 전 믿음의 지도자, 혜안·결단 덕분에

    기독일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이 설전과 고성이 오가는 등 파행으로 얼룩지면서 전 세계의 관심이 우크라이나가 과연 굴욕적인 미국의 휴전 압박을 견뎌낼 것인지에 쏠리고 있다. 지난달 28일 백악관에서 열린 미·우 정상회담은 작금의 국제정세가 힘의 논리와 자국 우선주의로 재편되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건이다. 이날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휴전을 압박하며 공세를 취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안전보장을 요구하며 팽팽히 맞섰다.

  • 요한복음(92) 이 사람을 보라

    요한복음(92) 이 사람을 보라

    기독일보,

    죄가 없어도 때리고, 때릴 때 꿈틀거리며 소리 지르고, 괴로워하며 죽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 살기가 가득하지만 그들에게는 그저 잔인한 오락일 뿐이다. 본문의 재판도 그랬다. 인류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유일무이한 엄청난 재판이 마치 게임이나 오락처럼 진행되고 있다.

  • [사설] AI가 신성한 ‘국방의 의무’ 대체할 수 있나

    [사설] AI가 신성한 ‘국방의 의무’ 대체할 수 있나

    기독일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수십만 젊은 청년이 왜 군대 막사에 앉아 세월을 보내나”라고 말했다. 지난 2일 공개된 모 유튜브에서 국방의 AI화를 주장하며 한 말인데 일각에선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국방 표플리즘’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 십자가에 달리신 왕, 나사렛 예수(3)

    십자가에 달리신 왕, 나사렛 예수(3)

    기독일보,

    복음서 저자들은 제 각기 개성있는 시각으로 예수의 죽음을 알려주고 있다. 마태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우주적인 사건이 표징으로 나타난 것을 기록하고 있다. “온 땅에 어두움이 임하였다”(마 27:45). 누가는 다음같이 기록하고 있다: “예수께서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하고 이 말씀을 하신 후 숨지시니라”(눅 23:46). 요한은 다음같이 기록하고 있다

  • 사람은 변하지 않는가?

    사람은 변하지 않는가?

    기독일보,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절대 변하지 않는다.” 이런 얘기를 자주 듣는다. 아무리 배우고 철들고 해도 사람은 쉬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다. 교회 안에서도 이 말은 진리인 것으로 생각된다. 험한 말을 하고 악한 행동을 하던 사람이 예수를 믿고 회심했다고 간증까지 하고 다니는데도 결국은 이전의 모습 그대로 변화 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를 우리는 자주 보아왔다. 그런 사례들을 보면 정말 사람은 변하지 않는 게 맞는 말처럼 생각된다.

  • 정작 주님이 가르치신 기도

    정작 주님이 가르치신 기도

    기독일보,

    십자가 처형의 극심한 고통은 도저히 말로 설명할 재간이 없을 것입니다. 고래로 인간이 고안한 사형 방법 중에 가장 잔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거기다 발가벗기어 치부를 완전히 드러내고 죽으니 수치스럽기 짝이 없습니다. 인간의 몸으로 이 땅에 오신 성자 하나님도 그 고통과 수치에서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 전쟁과 평화의 길목에서

    전쟁과 평화의 길목에서

    기독일보,

    지구촌 한 쪽에는 지금도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주목해야하는 분쟁지역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이다. 2022년 3월에 러시아의 전면 침공으로 시작하여 3년 동안 우크라이나는 국토의 27% 이상에 달하는 영토를 잃었다. 소비에트 연방시대에 우크라이나는 원자력 발전소가 많아 핵무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소련이 붕괴 되었던 1991년에 독립과 평화의 조건으로 핵무기를 포기하는 결정을 내렸다.

사설/칼럼의 인기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