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
교회는 우파다 절대로 좌파가 될 수 없다
기독일보,한 성도가 자신은 좌파라고 교회를 섬기는 사모인 누님에게 밝혔다. 그러자 그 누님은 그럼 차별금지법이 통과가 되고 교회는 어려워지고 목사인 매형은 힘들어진다고 하자 그 성도는 비로서 현타가 와서 아무 말을 못했다고 한다. 많은 성도들은 자신이 좌파를 선택할 때 어떤 결과가 오는 지를 모르고 그저 언론과 여론에 의해서 정치 성향을 결정하는 것 같다.
-
하나님의 법과 가이사의 법(2)
기독일보,예수님은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고 하셨고 사도바울도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가 있다”고 하였다(고후 3:17). 성경이 말하는 자유는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으로 말미암아 믿는 자에게 주어진 죄와 하나님의 진노, 율법의 저주와 사망으로부터의 해방되는 영적 자유이다(웨민 20.1). 그러므로 자유를 구실로 죄를 범하거나 방종의 기회로 삼아서는 안된다(갈 5:13).
-
요셉이 애굽의 총리가 된 이유
기독일보,요셉이 바로의 꿈을 해몽하여서 애굽의 총리가 된 것은 주일학교 아이들까지도 잘 아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극심한 어려움 가운데도 믿음으로 인내하면서 자신의 비전을 키우면 하나님이 반드시 이뤄주신다고 교회 청소년들을 권면하고 격려합니다. 특별히 이민교회에선 이방 땅에서의 온갖 어려움을 딛고 성공한 롤모델(role model)이 되어 있습니다.
-
누구를 위한 손과 발인가?
기독일보,프랑스의 작은 마을에 있는 한 교회에서 중요한 안건을 놓고 모였다. 교회 마당에 예수님의 동상이 하나 있었는데, 전쟁 와중에 폭격을 맞아 그만 동상의 손과 발이 떨어져 나간 것이다. 성도들은 모여 예수님의 동상을 어떻게 복구할 것인가, 떨어져 나가버린 손과 발 부위만 다시 새롭게 만들어서 복원할 것인지, 아니면 전체를 다시 제작할 것인지를 논의했다.
-
해방신학의 구원자 이해
기독일보,해방신학은 메델린 주교회의에서 태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68년 8월에 콜럼비아 메델린에서 열린 제 2차 라틴 아메리카 주교 총회에서 구티에레츠는 ‘해방’ (Liberation) 이라는 이슈를 가지고 주제연설을 하였고, 그 후 1971년에 구티에레츠는 (Gutierez)는 『해방신학』(A Theology of Liberation) 이란 이름으로 책을 출간하였는데, 이것이 해방신학 최초의 대표작이 되었다. 해방신학은 서구 교회와 서구 중심의 선교를 통해서는 이 세계에 현존하는 구조적 불의 (systematic injustice)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 구조적 모순을 그대로 안고 있는 ‘발전’ 이 아니라 ‘해방’을 지향하였다.
-
강아지와 같은 대한민국의 사법부
기독일보,우리 집에는 견종이 푸들인 유기견 하둥이가 있다. 본래 개척교회를 담임하던 큰 사위가 두 번이나 파양당한 강아지를 불쌍히 여겨 입양하였으나 바쁜 일정 중에 잠시 우리 집에 맡기곤 했다. 그러한 시간이 잦다 보니 강아지와 우리 가족은 정이 들었고 결국에는 우리가 키우게 되었다.
-
[말씀과 명상(29)] 전원교향곡-지드
기독일보,여기서 말하는 약함이란 육체의 풍모나 신체적인 면에 있어서의 허약함, 세상적인 것을 가지지 못한 약함,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처럼 고난의 여정을 걸어야했던 것 등이라고 본다(11:23-27, 사 53:4). 그리고 이러한 연약함이 그에게 자랑거리라는 말은 매우 역설적인 표현이다. 그런데 이 말은 바울 자신이 인간적인 면에서 약하면 약할수록 영적인 면에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충만하게 되기에 그 연약함이 그에게 자랑거리라는 의미이다.
-
유신진화론 비판(2)
기독일보,한국교회를 책임지고 있는 목회자나 신학자들은 지금의 신학적 현상, 특히 유신진화론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신학을 가장히여 진화론을 주장하는 유신진화론 말이다. 분명한 것은 어떤 주제나 사건은 그 자체 하나의 일로서만 이루어지거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반드시 주변환경(Context)이나 그 영향력에 의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자유주의 신학이나 진화론도 이성주의 철학 영향력 때문에 나온 것이며, 기존 성경에 대한 비판도 이러한 학문 발달에 의해 나오게 된 것과 같은 것이다.
-
[말씀과 명상(28)] 실낙원-밀턴
기독일보,‘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자’는 하나님의 영원한 속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하나님 칭호의 찬양은 하나님께서 피조물처럼 시공의 제한을 초월한 자임을 강조하며 섭리하시고 보호하시며 인도하시는 자이심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런한 찬양의 내용들은 피조물들이 영원토록 본질적으로 찬양해야 할 것임을 나타냄과 동시에 피조물의 사명을 암시한다(시 148:1-14).
-
[말씀과 명상(27)] 신앙의 고민-클로델
기독일보,“그러므로”라는 단어는 그리스도의 사망과 부활로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들이 유죄선고를 따라 받아야 마땅한 극악한 형벌에서 자유롭게 된다는 선포이다. 정죄함이란 궁극적으로 하나님에게서 소외되는 버려짐인데,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그러한 정죄함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