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
-
역대 최대 산불 피해 낳은 영남권 산불… 확산 원인은 ‘강풍과 침엽수림’
기독일보,27일 관련 전문가들의 분석을 종합한 결과, 최근 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 그리고 인화성이 높은 침엽수림이 결합하면서 급속도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바람을 타고 불씨가 날아가며 산불을 확대시키는 '비화 현상'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
서울대 의대생, 등록 후 투쟁 전환… 자체 투표서 65.7% 찬성
기독일보,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과대학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는 전날 오후 10시부터 이날 오전 8시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했다. 전체 607명이 참여한 가운데, 399명(65.7%)이 등록에 찬성했고, 208명(34.3%)은 미등록 휴학 지속을 선택했다.
-
연상호 감독 ‘계시록’, 넷플릭스 비영어권 영화 1위
기독일보,넷플릭스가 지난 26일 발표한 3월 17일부터 23일까지의 주간 시청 순위에 따르면, '계시록'은 총 570만 회의 조회수와 1160만 시간의 누적 시청 시간을 기록해 비영어 영화 부문 정상에 올랐다. 전체 영화 부문에서도 '일렉트릭 스테이트'(2250만 회), '토네이도: 폭풍에 갇히다'(1700만 회), '크리미널 스쿼드2: 판테라'(840만 회),
-
“연극 ‘리턴’ 통해 기독교 성극 편견 깨고 싶어”
기독일보,YDP하나교회(담임 김성한 전도사)가 기독교 성극이자 연극 ‘리턴’의 기자간담회를 27일 오후 서울 대학로 올래홀에서 개최했다. 연극 ‘리턴’은 김성한 전도사의 실제 삶을 모티브로 제작됐으며 기독교 성극이 대학로에 진출하기 어려운 현실에 두 차례 공연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관심을 끈 바가 있다.
-
복음 위에 세워진 환대와 용납의 공동체
기독일보,한국교회의 이주민 선교 첫 30년이 지나고 새로운 세대를 맞이하게 된 지금 저자 신치헌 목사(시티센터교회 담임)는 그동안 한국과 미국에서 다양한 이주민 선교와 도시 선교를 경험하면서 이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성경적으로 상황화된 새로운 교회의 모델을 고민해 왔다. 이에 이주민을 ‘위한’ 선교나 이주민에 ‘의한’ 선교의 모델이 아닌, 이주민과 ‘함께하는’ 선교의 모델을 추구하는 교회가 필요하다는 확신에 이르렀다. 그 확신의 결과로 저자는 시티센터교회를 개척했다.
-
[신간] 사막 교부들의 금언록
기독일보,최근 콘서트를 준비하는 가수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몇 시간의 콘서트를 위해 자신의 몸을 절제하며 금욕의 시간을 가졌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하지만 사막 교부들의 삶을 생각할 때, ‘왜 이들이 이렇게까지 금욕과 고행의 삶을 살았을까’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
경북 의성 산불 닷새째 확산… 진화 총력전에도 불씨 여전
기독일보,산림청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30분, 일출 직후부터 의성을 비롯해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지에 헬기와 진화 인력, 장비를 대거 투입해 본격적인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번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6분께 의성군 안평면 괴산1리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시작되어 강한 바람을 타고 인근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파악됐다.
-
리키김, 방송 중단 10년 만에 선교사로 근황 전해
기독일보,배우 겸 모델로 활약했던 리키김이 방송 활동 중단 10년 만에 선교사로서의 삶을 전하며 근황을 공개했다. 최근 유튜브 채널 'CGN'에는 "이제 '배우' 대신 '선교사'로 불러 주세요, 리키 김 선교사"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시되었고, 영상 속 리키김은 자신의 삶에 일어난 변화와 그 과정을 솔직히 털어놓았다.
-
회중 안에서 가르치기
기독일보,믿음에 대한 가르침에 관한 책이다. 특히, 회중 안에서의 가르침에 관한 것이다. 저자 폴 M.레더락 작가는 흔히 ‘선교 대명령’이라고 불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명령(마 28:18-20)의 두 축을 구성하는 ‘복음을 전하는 것’과 ‘제자 삼는 것’을 언급하면서 교회들 대부분이 복음 전도는 중요시하면서도 회중 안의 신자들을 성숙한 믿음을 지닌 제자들로 삼는 일은 등한시하는 것에 주목한다.
-
영덕 산불로 삶의 터전 잃은 주민들… “옷만 걸치고 뛰쳐나왔어요”
기독일보,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며 영덕까지 번졌다. 불길을 피해 대피소로 몸을 피한 주민들은 불에 탄 삶의 터전을 뒤로 한 채 충격과 혼란에 빠진 모습이었다. 현재 영덕국민체육센터에는 약 1300명의 주민이 임시로 머물고 있다. 영덕군 영덕읍 삼계리에 거주하는 주모(85) 씨는 “불이 마을로 내려오는 걸 보고 옷만 걸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