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
초딩 감사일기, 중딩 감사일기, 고딩 감사일기
‘일기’ 하면 어린 시절 쓰던 일기 숙제가 떠오른다. 마땅히 쓸 게 없을 때에는 ‘날씨’를 잡고 늘어지곤 했다. “오늘은 눈이 왔다. 낮에도 눈이 왔다. 저녁에도 눈이 왔다. 하루종일 눈이 왔다”라는 식으로. 방학 때는 개학을 몇 날 남겨두고 한꺼번에 쓰기도 했다. 그런데 ‘날씨’가 생각나질 않아 고생을 했다.그러나 더 성장해서 스스로 적은 일기를 보면, 날씨 얘기 대신 그날의 내 생각과 느낌이 가득하다. 대학생들과 감사일기 쓰기를 해왔다. 그런데 대부분 글이 짧았다. 거의 한 두 문장으로 “누가 내게 무엇을 해줘서 고맙다”고 적었
-
예배가 변질되면 교회는 쇠퇴한다
기독일보,얼마 전 퇴직 5일을 남겨둔 한 판사님께서 “코로나 시국에 예배를 드리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당시 정부의 강경한 조치를 옳다고 판결했다. 역사적으로 한국교회는 4번 예배를 통제받았다. 첫 번째는 1938년 신사참배 강요로 예배가 무너졌고, 두 번째는 1942년 2월부터 8월 15일까지 일제는 한국의 예루살렘이라고 할 수 있는 평양 일대의 교회를 폐쇄했다. 세 번째는 8·15 해방 후 북쪽의 공산당이 들어와서 예배를 폐쇄했고, 끝으로 멀쩡한 자유대한민국에서 코로나를 핑계로 문 정부는 예배를 통제했다.
-
목사의 이중(二重)직업에 대한 성경적 입장은?
기독일보,많은 이들이 목사는 전적으로 하나님께 헌신하며 목회 사역에 전념해야 하는 데다 그분이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해 주실 것을 믿고서 세속적인 직업을 가져선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에 바울이 천막 사역했던 일을 근거로 다른 직업을 가지고서 평균의 혹은 그 이상으로 안락하게(?) 살아도 된다고 반발합니다. 바울이 장막을 직접 지으며 자비량(自備糧) 선교를 했던 일이 성직자의 이중직을 뒷받침하는 성경적 근거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
[선교칼럼] 왜 이주민 시대의 선교인가?(7)
선교신문,이번엔 마지막으로 이주민 선교에 대해 지역교회의 협력과 참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이주민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도 실제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 앞으로 이 땅에 계속하여 이주민들을 보내주실 텐데, 이주민 선교가 실효를 거두려면 지역교회의 관심과 참여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요한복음(66) 오직 하나님께 영광!
기독일보,세상을 사랑하신 예수님은 메시아로 오셔서 계속 말씀과 표적을 통해 당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드러내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유대인들만 믿을 뿐 상당수의 유대 엘리트들과 출교(excommunication)가 두려운 많은 유대 백성들은 예수님을 믿지 않았다. 요한은 이런 현상을 “이렇게 많은 표적을 그들 앞에서 행하셨으나 그를 믿지 아니하니”라고 마무리 짓는다. 그런데 미완료태를 쓴 것은 믿지 않기로 작정했다는 것, 선민들에게 주어진 엄청난 선물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37절이 표적 신앙에 대한 최종 결론이다. 그래서 어떤 역사학자나 정치가들은 예수님이 민중을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거나 힘이 약했다는 식의 평가를 내리고, 또 어떤 신학자들은 인간이 완악해서 그랬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
-
[방배골] 오늘을 사는 지혜
한 번 주어진 인생,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삶의 원칙과 방향을 정해야 한다. 무엇보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라. 내일은 내 날이 아니다. 사는 날인지 죽는 날인지, 좋은 날인지 슬픈 날인지 하나님만 아시는 하나님의 날이다. 내일에 속아서는 안 된다. 오늘이 중요하다. 기독교의 역사관은 미래지향적이다. 하나님은 과거를 묻지 않는다. 사 43:18에,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며 옛날 일을 생각하지 말라고 했다. 과거의 쓴 기억은 전진하는데 장애물이 될 뿐이다. 혹 과거에 어떤 실수와 허물이 있을지라도 진실한 회개를
-
[기자수첩] 용두사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올해 여름도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전국 각 교회는 너나 할 것 없이 1년 중 최대 사역으로 꼽히는 ‘여름 성경학교’를 비롯해 ‘국내외 단기선교’ 및 ‘수련회’ 등을 활발히 펼치며 교인들의 신앙에 뜨거운 불씨를 지폈다. 교회 목회자는 물론 교역자들과 전 교인들은 단 며칠간의 행사를 위해 길게는 수개월 이상 준비하는 게 다반사다.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한 영혼이라도 더 참여해 큰 은혜를 받을 수 있도록 기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간과 물질을 들여가며 준비에 열정을 쏟아붓는다.그러나 여름 행사가 끝난 이후 막상 ‘
-
위대한 기업을 넘어 영원한 기업으로(2)
기독일보,만왕의 왕, 만주의 주되신 나사렛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이 중요한 이유는 성령 충만한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미문의 앉은뱅이를 일으킨 사건이다. “베드로가 가로되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것으로 네게 주노니 곧 나사렛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하고 오른손을 잡아 일으키니 발과 발목이 곧 힘을 얻고 뛰어 서서 걸으며 그들과 함께 성전으로 들어가면서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며 하나님을 찬미하니”(행3:6~8) 이는 바로 나사렛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나면서 앉은뱅이 된 병자를 고친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