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편향적 괴변철학

    편향적 괴변철학

    기독일보,

    며칠 전 모 신문에 한 목사가 자신의 현 시국에 대한 입장문을 게재했다. 이 글을 보면서, 그가 정치인인지, 종교지도자인지, 아니면 소피스트(괴변철학자)들 중의 하나인지, 이 신문은 복음주의 교단신문인지 자유주의 교단신문인지 정체성에서 정말 분간하기 어려운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 성탄 전야 예배와 새벽송 되살아나길

    성탄 전야 예배와 새벽송 되살아나길

    기독일보,

    2024 성탄 전야(크리스마스 이브) 예배를 마치고 2부 순서로 성탄 발표회를 했다. 어린 학생들부터 장년들까지 열심히 준비하여 예수님을 보내주신 은혜를 기뻐하고 감사드렸다. 발표회가 끝난 후에는 새벽송(저녁에 함)을 나갔다. 올해 성탄 발표회는 작년보다 더 밝은 분위기 속에서 진행했고, 더 많은 인원이 참석했다. 특히 새로운 성도들도 참석했다. 성탄절에 학생들에게 나눠줄 성탄 과자도 더 많이 들어왔다. 2024년 성탄절 감사예배를 드릴 때 본당이 가득 찼다. 예배당을 넓혀야 하는 고민을 하게 되었다. 할렐루야!(은혜를 베풀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 이영훈 목사가 주장하는 정교분리 원칙의 저의는 무엇인가?

    이영훈 목사가 주장하는 정교분리 원칙의 저의는 무엇인가?

    기독일보,

    여의도순복음교회는 금년 성탄절인 12.25 여야 당대표를 비롯한 정치인들이 성탄예배를 드린 교회다. 그 교회 담임목사는 대부분의 기독교인이건 비기독교이건 초대형교회로 익히 아는 바다. 그러다 보니 그의 메시지에 담긴 말이나 글의 표현이 인정하든 하지 않든 적지않게 한국 기독교가 세상에 어떻게 비춰질 것인가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 [사설] ‘밥퍼’시설 둘러싼 해묵은 갈등 ‘해피엔딩’

    [사설] ‘밥퍼’시설 둘러싼 해묵은 갈등 ‘해피엔딩’

    기독일보,

    노숙인과 무의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료급식소를 운영해 온 다일공동체가 서울 동대문구청을 상대로 한 행정소송에서 최종 승소해 ‘사랑의 밥퍼’를 중단 없이 할 수 있게 됐다. 서울행정법원 제5부가 동대문구청이 다일공동체에 부과한 2억8천여 만원의 이행 강제금과 밥퍼 건물 철거 명령을 모두 취소했기 때문이다.

  • 새해를 준비하며 결심하자

    새해를 준비하며 결심하자

    기독일보,

    “예수께서 돌이키시며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사탄아 내 뒤로 물러가라 너는 나를 넘어지게 하는 자로다 네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 하시고 이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찾으리라”(마 16:23-25). 십자가를 지실 것을 결심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이다.

  • ‘상 탄 절’ 소감

    ‘상 탄 절’ 소감

    기독일보,

    <성탄절을 맞이하여>란 제목으로 페북에 글을 하나 올렸다. 그로부터 몇 시간 후, 제목이 이상하다는 내용의 글을 두 분이 댓글로 남기셨다. 하이패밀리의 송길원 목사님이 “상을 타셨남?”이란 댓글을 다셨다. 비로소 오타가 난 걸 알았다. 글을 점검했더니 세상에, 제목이 ‘상탄절’이라 잘못 적혀 있었다. ‘ㅓ’와 ‘ㅏ’가 자판에 붙어 있다 보니 자주 오타를 일으키는 골칫거리다. 웃음이 터져나왔다.

  • 참사랑은 그 어디에

    참사랑은 그 어디에

    기독일보,

    일본인 작가 마쓰미 토요토미가 쓴 책 중 사랑의 진실에 관해 다룬 탁월한 책이 있다. 『참사랑은 그 어디에』로 번역된 소책자인데, 본래 제목은 ‘세 가지 사랑’(3 Kinds of Love)이다. 첫 번째 사랑은 ‘만약에(If)의 사랑’이다. 내게 무언가를 해 준다면 사랑할 것이라는 조건부의 이기적인 사랑이다.

  • 세상에서 가장 영원한 것은?

    세상에서 가장 영원한 것은?

    기독일보,

    바울사도는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찌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괭가리가 된다고 했습니다. 또 예언하는 능, 모든 지식, 모든 믿음, 모든 구제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며 심지어 자신에게 유익도 없다고 했습니다. 성령의 은사를 받은 자는 오직 주위에 사랑을 구현하며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아가 성령의 은사도 완전한 것이 오면 결국 폐해질 것이기에 은사 자체를 사모하고 실현하기보다는 항상 믿음과 소망과 사랑 이 셋을 소유하며 실현하라고 합니다.

  • [말씀과 명상(9)] 바비도-김성한(金聲翰)

    [말씀과 명상(9)] 바비도-김성한(金聲翰)

    기독일보,

    “복이 있도다.” 이는 예수와 그의 사역을 믿으며 그를 참 메시아로 받아들이는 자는 영원한 생명과 나라를 유업으로 받을 것이라는 약속에 찬 말씀이다. 그러나 예수의 약하고 볼품없는 모습과 그의 탈(脫)유대적 인간 관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말씀과 능력으로 인해 그를 오실 메시아로 믿고 따른 자는 그분의 나라에 속한 참으로 행복한 자인 것이다. 실로 예수는 믿어도 되고, 믿지 않아도 되는 세상 진리의 한 측면이 아니라, 안 믿으면 영원한 심판과 형벌, 믿으면 영원한 생명과 복락이 보장되는 진리요 생존의 근거가 된다(요 20:31).

  • 희망봉

    희망봉

    기독일보,

    우리는 지금 시간의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 24~25년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는 자칫 우리의 선택에 따라 더 거센 폭풍 속으로 빠져 들어 가거나 인류 역사에 희망봉이 될 수도 있다. 희망봉(Cape of Good Hope)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 주의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곶으로, 케이프타운에서 남쪽으로 약 48km 떨어져 있다. 1488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이 지역을 발견하고 거친 폭풍을 경험하여 ‘폭풍의 곶(Cabo das Tormentas)’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포르투갈 왕 주앙 2세는 이곳이 인도로 가는 새로운 항로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희망을 담아 ‘희망봉(Cabo da Boa Esperança)’으로 개명했다.

사설/칼럼의 인기 스토리